본문 바로가기

시니어 스마트폰 가이드

위급 상황 시 위치 전송하는 방법 (구글 지도 활용법)

서론 — 한 번의 클릭이 생명을 바꿀 수 있습니다

갑작스러운 사고, 넘어짐, 길에서 길을 잃었을 때 가장 필요한 것은 정확한 위치입니다.
특히 혼자 계신 노인분들은 “어디 있는지 말로 설명하기 어려워요”라고 하시죠.
이 글은 구글 지도(Google Maps)를 활용해 위급 상황 시 위치 전송을 가장 쉽고 빠르게 하는 방법을 시니어 눈높이로 정리한 가이드입니다.
(관련: 전화가 안 올 때 확인해야 할 설정 3가지, 스마트폰으로 TV 연결하는 방법)

 

 


핵심 내용

  1. 긴급(비상) 공유: Android의 ‘안전(Safety) 앱’에서 제공하는 Emergency sharing 기능으로 즉시 연락처에 실시간 위치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. 
  2. 구글 지도 실시간 위치 공유: Google Maps에서 실시간 위치(라이브 위치)를 선택해 연락처나 메시지로 링크 전송. 상대는 링크를 클릭해 실시간 위치 확인 가능. 
  3. 응급전화 시 자동 위치 전송(ELS): 긴급전화(예: 119/911) 시 Android의 Emergency Location Service가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긴급구조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(국가/지역 적용 다름).
  4. 긴급 통화화면에서 위치 읽기: 통화 화면에서 ‘현재 위치(플러스 코드, 위도·경도)’를 확인해 음성으로 알려주거나 복사해 전송 가능. 

구체적 단계 — (A) 구글 지도: 실시간 위치(라이브 위치) 공유하는 방법

이 방법은 와이파이 또는 모바일 데이터가 켜져 있어야 합니다.

  1. Google Maps 앱 열기. (안드로이드 / 아이폰 동일)
  2. 오른쪽 상단 프로필 사진(또는 계정 아이콘) 탭 → 위치 공유(Location sharing) 선택. 
  3. 새 공유(New share / Share location) → 공유할 연락처 선택 또는 링크 생성 선택.
  4. 공유 시간 설정(예: 1시간, 또는 ‘종료될 때까지’) 후 공유(Share) 누르기.
  5. 생성된 링크를 문자(SMS) 또는 카카오톡 등으로 보내면, 수신자는 링크를 눌러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팁: 길을 헤맬 때나 걸어갈 때는 ‘내 이동 경로(Share trip progress)’ 기능을 사용하면 목적지까지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. 


(B) 빠르게 위치를 문자로 보내는 방법 (핀/현재 위치 공유)

  1. Google Maps에서 파란 점(현재 위치)을 길게 누르거나, 지도에서 원하는 지점을 길게 눌러 핀(drop a pin).
  2. 정보 카드에서 공유(Share) → 메시지(문자) 선택 → 받는 사람 선택 → 전송.
    이 방법은 상대가 스마트폰이 없어도 SMS로 위치(링크 또는 plus code)가 전송되어 확인 가능.

(C) Android ‘긴급 공유(Emergency sharing)’ (긴급 상황 알림 전송)

Android에는 Safety 앱 내 Emergency sharing 기능이 있습니다. 위급 상황 발생 시 바로 지정한 연락처에 실시간 위치와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. 사용 방법: Safety 앱 → Emergency sharing → 공유할 연락처 선택 → Share. 사용 중지 방법과 자동 종료(24시간 등)도 설정 가능. 


(D) 응급전화(119·911) 걸었을 때 — ELS와 구조대 전송

일부 Android 시스템은 **Emergency Location Service(ELS)**를 통해 긴급전화가 걸리면 기기가 자동으로 정밀 위치(위도·경도 등)를 긴급서비스에 전송합니다. 사용자는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지만, 국가별 제공 여부와 정책을 확인하세요. 


구체적 사례 + 데이터(간단)

  • 사례: 집 근처 공원에서 넘어졌던 78세 김 할머니는 손주가 보낸 구글 지도 라이브 링크를 통해 10분 내 구조를 받았습니다.
  • 실무 팁: 메시지로 보낸 라이브 위치는 상대가 지도 링크만 누르면 즉시 위치를 확인하므로, 전화로 위치 설명하는 시간 절약됨.
  • 안전 권장: 가족 1~2명을 ‘위치 공유’ 연락처로 미리 등록해두면 위급 시 즉시 도움을 받습니다.

문제 제기 → 해석 → 개인 의견

문제 제기: “위급 상황인데 위치를 설명하기 어렵다” → 많은 분이 겪는 현실 문제입니다.
해석: 말로 위치 설명은 오류와 지연을 낳습니다. 반면 링크 한 번 전송이면 위치가 정확히 전달됩니다.
개인 의견: 모든 시니어 가정은 ‘구글 지도 위치 공유 방법’을 가족 중 한 사람이 미리 가르쳐주고, 긴급 연락처를 설정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.

 

위급 상황 시 위치 전송하는 방법 (구글 지도 활용법)


체크리스트 (비상용 설정 한눈에)

항목왜 필요한가설정 방법
Google Maps 앱 로그인 위치 공유를 위해 필요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
위치 서비스 켜기 GPS가 꺼져 있으면 위치가 안잡힘 설정 → 위치 → 켜기
Emergency sharing 설정 (Android) 긴급 시 빠르게 공유 Safety 앱 → Emergency sharing 설정. 
긴급연락처 저장 빠른 연락·도움 요청 연락처 앱에 ‘긴급’ 태그로 저장
사용법 연습 실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도록 가족과 시험 메시지/링크 전송해보기

같이 읽으면 좋은 글


결론 — 한 번의 준비가 큰 안전망이 됩니다

위급 상황 시 위치 전송은 복잡하지 않습니다. Google Maps의 실시간 위치 공유나 Android의 Emergency sharing 기능을 미리 설정해 두면, 위급한 순간에도 빠르고 정확하게 위치를 알려 구조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가족끼리 사전에 연습하고, 긴급 연락처를 등록해 두세요. 작은 준비가 큰 안전을 만듭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