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부모님이나 시니어분들 사이에서 “전화가 안 온다”, “벨이 안 울린다”는 고민이 많습니다.
특히 가족이나 병원, 은행 등 중요한 전화가 오지 않아 불안해지는 순간도 있죠.
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.
대부분의 경우 휴대폰 설정 한두 가지만 바꾸면 금세 해결됩니다.
오늘은 시니어분들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
전화가 안 올 때 꼭 확인해야 할 3가지 설정을 단계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.
이 글은 “시니어 스마트폰 문제 해결 시리즈”의 일환으로,
이전 글 스마트폰으로 TV 연결하는 방법과 함께 보시면 훨씬 이해가 빠릅니다.
🔍 1. 설정 ① “방해 금지 모드”가 켜져 있나요?
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가 바로 **방해 금지 모드(Do Not Disturb)**입니다.
이 기능이 켜져 있으면, 전화나 메시지가 와도 소리나 진동이 전혀 울리지 않습니다.
📱 확인 방법 (갤럭시 기준)
1️⃣ 화면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 빠른 설정창을 엽니다.
2️⃣ ‘⛔ 방해 금지’ 아이콘이 활성화되어 있다면, 눌러서 꺼주세요.
3️⃣ 설정 > 알림 > 방해 금지 모드에서도 세부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💡 TIP:
특정 시간에 자동으로 방해 금지가 켜지는 ‘예약 설정’이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.
예를 들어 밤 10시~아침 7시에 자동 설정되어 있다면, 아침에도 전화가 안 울릴 수 있습니다.
🍎 아이폰의 경우
1️⃣ 설정 > 집중 모드 > ‘방해 금지’ 메뉴로 이동
2️⃣ 활성화되어 있다면 해제
3️⃣ ‘자동 모드’가 켜져 있다면 시간대 조정
📘 실제 사례:
70대 이OO 님은 “전화가 안 온다”며 수리점에 갔지만,
알고 보니 ‘방해 금지 모드’가 하루 종일 켜져 있던 것이 원인이었습니다.
버튼 하나로 껐다가, 바로 벨이 울렸죠.

🔔 2. 설정 ② “소리 및 벨소리” 확인
생각보다 많은 분이 **벨소리 음량이 ‘0’**으로 되어 있거나,
무음 모드가 켜져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지나칩니다.
📱 갤럭시 스마트폰
1️⃣ 볼륨 버튼을 눌러 벨소리 음량 바를 확인
2️⃣ ‘진동 모드’ 아이콘이 켜져 있으면 꺼주세요.
3️⃣ 설정 > 소리 및 진동 > 벨소리 > 음량 조정
💡 TIP:
진동 모드 상태에서는 전화가 와도 화면에만 표시되고,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.
귀가 어두운 분들은 반드시 소리 모드로 변경해두세요.
🍎 아이폰
1️⃣ 측면의 ‘무음 스위치’가 주황색으로 보이면 무음 모드입니다.
2️⃣ 위로 밀어 스위치를 끄면 소리가 다시 활성화됩니다.
3️⃣ 설정 > 사운드 및 햅틱 > 벨소리 음량 조정
📘 실제 사례:
한 어르신은 병원 예약 전화를 놓쳤는데,
알고 보니 가족이 영화관에서 ‘무음 모드’로 바꿔둔 걸 깜빡하셨던 거죠.
그 이후로는 항상 벨소리 테스트를 먼저 해보신다고 합니다.
🚫 3. 설정 ③ “수신 차단 / 통화 차단 목록”
전화가 안 오는 또 다른 이유는
상대방이 ‘수신 차단’ 목록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.
특히 실수로 가족 번호를 차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📱 갤럭시 스마트폰
1️⃣ 전화 앱 실행 → 오른쪽 상단의 점 3개(⋮) 클릭
2️⃣ 설정 > 통화 차단
3️⃣ 등록된 번호 목록 확인 → 불필요한 번호 삭제
🍎 아이폰
1️⃣ 설정 > 전화 > 차단된 연락처
2️⃣ 차단된 번호 목록에서 확인 후, ‘편집 → 해제’
💡 TIP:
‘알 수 없는 발신자 차단’ 기능이 켜져 있으면
저장되지 않은 번호의 전화가 아예 울리지 않고 넘어갈 수 있습니다.
설정 > 전화 > ‘알 수 없는 발신자 차단’ 메뉴에서 꺼주세요.
📘 실제 사례:
아들 번호가 ‘스팸 번호’로 오인되어 자동 차단된 경우도 있습니다.
‘전화 안 받았다’고 서로 오해하기 전에,
먼저 수신 차단 설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📊 비교 요약표
| 방해 금지 모드 | 빠른 설정창 / 알림 설정 | 기능 해제 | 모든 사용자 |
| 소리 음량 설정 | 볼륨 버튼 / 소리 메뉴 | 소리 모드 전환 | 시청각 약한 시니어 |
| 수신 차단 목록 | 전화 앱 설정 | 차단 해제 | 가족 간 통화 문제 |
🧠 문제 제기 → 해석 → 개인 의견
문제 제기:
“나는 아무것도 건드린 적이 없는데 왜 전화가 안 와?”
많은 분이 이렇게 생각하지만, 사실 스마트폰의 자동 기능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.
해석:
최근 스마트폰은 자동 절전, 집중 모드, 방해 금지 등
사용자를 배려하는 기능이 많지만,
시니어분들 입장에서는 전화가 차단된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.
개인 의견:
기술이 편리해질수록 오히려 사용자는 혼란스러워지기 쉽습니다.
그래서 중요한 것은 ‘설정 메뉴를 익히는 것’이 아니라
‘문제가 생겼을 때 어디를 먼저 봐야 하는지’를 기억하는 것입니다.
그것만 알아도 90%의 스마트폰 문제는 스스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.
🔗 시니어 스마트폰 시리즈
👉 스마트폰으로 TV 연결하는 방법
👉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능 사용법
👉 스마트폰 글씨 키우는 방법 (2025년 최신)
이 시리즈를 함께 보면,
“스마트폰이 어려운 세상”에서 “스마트폰이 편리한 세상”으로 한 걸음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.
🌟 결론: 작은 설정 하나로, 소중한 전화 놓치지 마세요
전화가 안 오는 이유는 기기 고장보다 설정 문제일 때가 대부분입니다.
‘방해 금지 모드’, ‘소리 설정’, ‘수신 차단 목록’
이 세 가지만 순서대로 점검하면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스마트폰은 복잡하지 않습니다.
한 번 익혀두면 다음엔 두렵지 않습니다.
오늘 알려드린 3가지 설정만 기억해두세요.
📌 “전화가 안 올 때는, 스마트폰이 아닌 ‘설정’을 먼저 의심하세요.”
'시니어 스마트폰 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위급 상황 시 위치 전송하는 방법 (구글 지도 활용법) (0) | 2025.11.08 |
|---|---|
| 📱 서론: “폰이 이상해졌어…” 작은 설정 하나가 만든 큰 불편 (0) | 2025.11.07 |
| 스마트폰 화면, 이제 큰 TV로 보세요 (0) | 2025.11.05 |
| 📸 사진이 사라졌어요! 갤러리 복구 방법 (쉽게 따라하는 방법) (0) | 2025.11.04 |
|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능 사용법 (0) | 2025.11.03 |
| 📷 QR코드 찍는 방법 – 시니어 전용 스마트폰 가이드 (2025년) (0) | 2025.11.01 |
| 📲 QR코드가 뭔가요? 70대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설명 (0) | 2025.10.31 |
| 📱 스마트폰 느릴 때, 시니어가 쉽게 할 수 있는 최적화 3가지 (2025년 기준) (0) | 2025.10.30 |